안녕하세요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공조냉동분야로 취업한 작성자입니다.
졸업후 공조냉동 분야로 진로를 정하고, 진출가능한 분야를 찾았습니다.
취준기간동안 공조 관련분야로 알아본 내용들을 공유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글은 취업가능한 분야 (진로)입니다.
※ 제가 작성드리는 글의 대상은 4년제 대학 졸업자입니다.
▣ 공조냉동분야 진로
1) 플랜트, 조선 설비설계
· 업무
- 플랜트(발전소, 석유화학 공장), 배 선실의 유틸리티 설비의 스펙을 계산하고, 라인을 설계
- 특히 조선에서 선실은 모두 공조되는 상태로 공조설계 필요
· 장점
- 전공 활용성 높음
· 단점
- 해외 오지 장기출장 가능성 많음 (건축과 다르게 플랜트는 대부분 해외수주)
- 배관, 기계 장치 설계에 비해 T.O 거의 없는 수준
- 플랜트 불황으로 장래 불투명
· 채용공고 예시
- 현대건설
2) 건축설비시공
· 업무
- 건축물(빌딩, 아파트, 백화점, 호텔, 병원, 제조업 공장 등)의 공조설비 시공
· 장점
- 이름만 들어도 아는 대기업은 모두 건설사를 갖고있어, 대기업 지원기회 많음
- 현장 근무로 높은급여 수령 가능
- 아래 작성된 분야 (제조업 유틸리티 설비, 시설관리용역사)로 이직 쉬움
· 단점
- 워라벨 나쁨 (격주 토요일 근무, 공식적인 근무시간만 아침7시~저녁6시 퇴근)
- 주거 안정성 없음 (2~3년 단위로 현장 바뀌고 연고 없는 현장배치 가능성 높음)
- 케바케지만 현장직 파트장, 팀장급 대부분 술고래, 술자리 매우 잦음
· 채용공고 예시
- gs건설
- DL건설 (구 대림건설)
3) 제조업 유틸리티설비 관리
· 업무
- 제조업 공장의 냉동기, 공조기, 보일러 등 설비 관리
· 장점
- 거주 안정성 높음 (제조 공장으로 출퇴근)
- 대기업, 중견기업 채용 많음
- 반도체, 제약 등 클린룸 수요 높아져 장기적으로 필요한 직무라 판단됨
· 단점
- 생산설비 채용에 비해 TO 적음
· 채용공고 예시
- sk실트론
- sk 넥실리스
4) 시설관리 용역사
· 업무
- 발주처 건물(오피스 빌딩, 연구소 등) 의 시설관리 업무를 용역으로 받아 관리
· 장점
- 업무 강도 낮음 (개인적인 의견)
- 대기업 계열 용역사 입사시 그룹사 물량으로 안정적인 수주 가능
· 단점
- 발주처 대응 업무 많음 (을의 위치)
- 전공 활용도 낮음 (대부분 인력관리 업무)
· 채용공고 예시
- 현대엔지니어링
- 롯데물산
5) 냉동기, 공조기 등 장비 회사
· 업무
- 냉각탑, 냉동기, 공조기등을 직접 만드는 장비회사 설계 직무로 장비 시스템, 구조, 부하처리 등 설계
· 장점
- 수도권 근무 가능
- 전공 활용도 높음
· 단점
- 대부분 급여 낮음 (약 3000천만원 초반 수준)
· 채용공고 예시
-신성이엔지
- 귀뚜라미 범양냉방
▣ 결론
제조업 유틸리티설비 관리 업무를 가중 추천드립니다.
주거 안정성도 높고, 급여도 회사를 잘 고르면 좋습니다.
또한 산업도 반도체, 자동차, 제약, 이차전지 소재, 식품 등등
무엇인가를 제조하면 유틸리티 설비 관리 직무가 있어, 지원 가능한 회사가 많습니다.
다음 글부터는 면접에서 도움되는 지식, 전공을 살린 자소서 작성법, 서류 또는 면접에서 눈에띄는 경험 만들기 등등 꿀팁들을 공유드리겠습니다!